민주당 대선 경선, 초반부터 압도적 1강 체제…이재명 90% 득표
더불어민주당의 차기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지역 순회 경선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가운데, 이재명 전 대표가 사실상 독주 체제를 굳혔습니다. 지난 20일과 21일 양일간 치러진 영남권과 충청권 경선 결과, 이 전 대표는 각각 90.81%, 88.15%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두 지역의 누적 득표율은 무려 89.56%. ‘어대명(어차피 대선 후보는 이재명)’이라는 말이 실감 나는 수치입니다.
반면 경쟁 주자인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각각 5% 초반의 저조한 득표율에 머물렀습니다. 경선 초반부터 표 차이가 크게 벌어지며 민주당 경선 구도는 ‘90 대 5 대 5’의 확고한 1강 2약 구도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영남과 충청 모두 압승…이변 없는 초반 분위기
이 전 대표는 전통적으로 약세 지역으로 꼽히던 영남권에서도 강력한 지지를 확보했습니다. 울산에서 열린 영남권 순회경선에서는 권리당원으로부터 91.10%, 대의원으로부터 81.69%라는 높은 지지를 얻었고, 대구·부산·경북·경남을 포함한 영남권 전체에서도 90%를 넘는 득표율을 기록했습니다.
충청권 경선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충북 청주에서 열린 합동연설회 이후 실시된 투표에서 권리당원 88.16%, 전국대의원 87.32%로 여유 있게 1위를 차지하며 ‘이재명 대세론’이 초반부터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이재명, 지역 공약과 안정감으로 지지층 확보
이재명 전 대표는 지역 맞춤형 공약을 적극적으로 내세우며 각 지역 유권자들에게 다가서고 있습니다. 울산에서는 “해양수산부를 부산으로 이전하겠다”는 공약을, 충청에서는 “임기 내 세종에 대통령 집무실을 설립하겠다”는 계획을 다시 강조했습니다.
정치적 이슈와 정책 중심의 메시지를 동시에 전달하는 그의 전략은 지지층 결집에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됩니다. 또한 이 전 대표는 승리 후 겸손한 자세를 유지하며 “결과에 대해 속단할 수 없으며, 당원의 기대에 큰 책임감을 느낀다”고 언급해 안정적인 리더십을 부각했습니다.
김동연·김경수, 초반 부진…수도권에 기대
한편 김동연 지사는 영남권에서 3.26%, 충청권에서 7.54%의 득표율을 얻어 누적 5.27%를 기록했습니다. 그는 고향이 충청권임에도 초반 부진을 보이며 “가장 많은 당원이 있는 수도권 경선에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히며 반전을 다짐했습니다.
김경수 전 지사 역시 기대했던 영남권에서 5.93%, 충청권에서 4.31%로 누적 5.17%에 머물렀습니다. 그는 “이제 시작”이라며 “남은 경선에서 더 나은 결과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지만, 현실적으로 두 후보가 이 전 대표를 추격하기에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남은 경선 일정과 최종 후보 결정 방식
민주당 경선은 앞으로 호남권(4월 26일), 수도권·강원·제주(4월 27일) 순으로 이어집니다. 특히 27일에는 권리당원 투표 50%와 국민 여론조사 50%를 합산해 최종 후보가 결정됩니다. 수도권과 호남은 민주당의 핵심 지지층이 밀집된 지역인 만큼, 표심이 어떻게 움직일지 주목됩니다.
현재까지의 흐름으로 보면 이재명 전 대표의 본선행은 거의 확정적이라는 평가가 많습니다. 하지만 정치의 세계는 항상 변수로 가득하기에, 마지막까지 이변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정치적 파장과 ‘어대명’ 구도의 강화
이번 경선 초반 결과는 민주당 내부의 권력 지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재명 전 대표가 보여주는 득표력은 단순한 인기 이상의 구조적인 지지 기반을 반영합니다. 친문·친노계 핵심 인물로 불리는 김경수 전 지사조차도 지지세를 모으지 못한 점은, 당내 계파 정리가 새로운 국면에 들어섰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이 전 대표가 각 지역에서 자신만의 정책과 메시지를 확고히 전달하면서, 과거의 ‘갈등형 후보’ 이미지에서 ‘안정과 추진력의 리더’로 변모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맺음말: 굳히기 들어가는 이재명, 변수는 있는가?
이재명 전 대표는 이번 경선에서 단순한 선두가 아닌, 굳히기 체제를 굳혀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수도권과 호남, 여론조사 반영 등 중요한 변수가 남아있는 만큼, 남은 일정 동안에도 전략적 행보가 중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김동연·김경수 후보 역시 이대로 물러서지는 않을 것입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역전 시나리오가 가능할지, 아니면 ‘어대명’이 굳어질지. 민주당 대선 경선의 향방은 이번 주말에 더욱 뚜렷해질 전망입니다.
이 글이 유익하셨다면 공감(❤️)과 댓글, 구독으로 응원해 주세요!
앞으로도 선거·정치 이슈를 빠르고 분석적으로 객관적 소식만 전해드리겠습니다.
P.S. 이 글은 그저 객관적 분석만 할 뿐이오니 정치적 댓글은 지양해주시기 바랍니다
'====== 뀨짱story ======= >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평화와 청빈으로 남긴 유산…‘전쟁을 끝내라’ 마지막 메시지 (5) | 2025.04.22 |
---|---|
전쟁 대신 평화의 상징으로… 중동의 이미지를 바꾸는 아랍국가들 (1) | 2025.04.19 |
AI가 CEO가 되는 시대, 가능성과 도전 사이: ‘헤이 보스’ 사례 분석 (2) | 2025.04.19 |
가파도에서 만나는 특별한 힐링: 자연과 고양이의 공존 (0) | 2025.04.19 |
Candy Shop, 글로벌 무대로 도전하는 'Don't Cry'의 혁명! (2) | 2025.04.19 |